미국 증시가 2년 반만에 가장 크게 오른 이유
- 경제적 자유/경제정보
- 2022. 11. 11.
반응형
728x90
반응형

현지 시간 10일 미국 증시는 코로나 19 사태
판데믹 이후 2년 반 만에 가장 많이 올랐다.
특히 나스닥 지수는 7.3%나 올라갔다.

왜 이렇게 오른 걸까?

이유는 미국 10월 소비자물가지수(CPI)에 있다.
시장이 예상한 것보다 낮은 상승률이 나왔는데
이전 상승률과 비교해도 4개월 연속
둔화된 흐름을 보여줬다.
이 수치는 올해 1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였다.
- 1년 전보다 +7.7%
- 시장 예상치 +7.9% ~ 8.1%
- 한 달 전보다 +0.4%
- 시장 예상치 +0.6%
변동이 심한 식품과 에너지 분야를 빼고
'근원 CPI'도 상승률이 시장의 예상보다
0.2% 밑도는 그림을 그렸다.
이게 왜 좋을까?

미국 연준이 강력한 긴축 기조를 유지할
근거가 약해지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연준은 치솟는 물가를 잡는다는 명분으로
금리를 자이언트 스텝까지 밟아가며 크게 올려왔다.
간밤에 나온 CPI가 물가 인상이 잦아들고 있다는
신호를 줄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시장에서도 12월 FOMC에서 연준이 한꺼번에
금리를 자이언트스텝 대신에 0.5% 올리는 빅 스텝을
진행할 거란 전망이 더욱 늘어놨다.
CPI 발표 전날과 비교해 하루 만에 50%대에서
90.2%로 훌쩍 뛰어올랐다.
하지만... 우려의 목소리도..

이날의 오름세가 과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물가 상승률이 다소 잦아들긴 했지만
7%대를 유지하고 있다는 사실은 변함이 없다.
연준으로선 여전히 금리인상 궤도에서 완전히
물러나긴 어려울 거라는 지적의 소리도 있다.
728x90
반응형
'경제적 자유 > 경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주휴수당 폐지하나? 주휴수당 이야기와 계산기 (0) | 2023.01.16 |
---|---|
청년 특별지원 월세 지원 지급일 언제일까? (0) | 2022.11.27 |
2023년 건강보험요율 및 4대보험 깔끔 정리 (0) | 2022.11.18 |
청년 도약 계좌, 5년 적금하면 5천만원이 생긴다! (0) | 2022.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