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건강보험요율 및 4대보험 깔끔 정리
- 경제적 자유/경제정보
- 2022. 11. 18.
안녕하세요 2022년도 얼마 남지 않았네요
직장 다니시는 분이시면 소득 대비 공제율이나
4대 보험 요율 올라가는 부분에 대해서
관심이 많으실 거 같아서 준비했습니다.
다가오는 2023년 바뀌는 점이 있는지
건강보험요율을 정리해보려 합니다.
이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국민연금 고용보험은 어떻게?
국민연금과 고용보험은 작년과 동일.
국민연금의 비율은 9%입니다.
즉, 4.5%는 본인이 내고 4.5%는 직장에서
내주는 구조로 보면 이해가 되실 겁니다.
계산 방법은 월 급여에서 0.045를 곱하시고
나오는 금액이 내가 내는 급액이 됩니다.
고용보험의 경우 사업장은 근로자수에 따라
조금 다른데요 일반적으로 고용주가 내는
금액이 근로자보다 조금 더 많습니다.
근로자수 150명 미만으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근로자의 경우 요율이 0.9%로 0.009를 곱하시고
나오는 금액이 내가 내는 금액이 되고요
사업자의 경우 0.9%에 0.25%를 더 부담합니다.
해서 1.15%를 부담하는 걸로 0.115를 곱하시면
사업주가 부담하는 고용 금액 액수입니다.
그렇다면 건강보험과 장기요양 보험 요율은?
작년 대비 인상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건강보험은 1.43% 인상이 예정되어있고요
장기요양 보험은 5.81% 인상이 예정되었습니다.
근로자와 사업주가 각각 반씩 부담합니다.
내가 정확하게 얼마 내는지 알아본다면
건강보험은 월 급여 곱하기 0.03495
장기요양보험은 건강 보험료 기준으로
건강보험료 곱하기 0.1227 하시면 됩니다.
내가 일일이 계산하기 귀찮다면?
그런데 우리가 이렇게 일일이 계산하기
너무나 귀찮고 쉽지 않으시죠? ㅎㅎ
그래서 아래 링크를 남겨드렸습니다.
세전 월 급여를 기입하시면 2023년
얼마나 내는지 간편하게 알아볼 수 있습니다.
4대보험료 모의계산 - 4대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
건강보험조회목록으로 건강보험료 및 장기요양보험료,보험료율,근로자,사업주 에 대한 표 구분 기준액 보험료율 근로자 사업주 건강보험료 보수월액 6.99% 3.495% 3.495% 장기요양보험료 건강보험
www.4insure.or.kr
'경제적 자유 > 경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주휴수당 폐지하나? 주휴수당 이야기와 계산기 (0) | 2023.01.16 |
---|---|
청년 특별지원 월세 지원 지급일 언제일까? (0) | 2022.11.27 |
미국 증시가 2년 반만에 가장 크게 오른 이유 (2) | 2022.11.11 |
청년 도약 계좌, 5년 적금하면 5천만원이 생긴다! (0) | 2022.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