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건강보험요율 및 4대보험 깔끔 정리

반응형
    728x90
    반응형

    건강보험 요율 깔끔 정리 섬네일
    2023년 건강보험요율 깔끔 정리

    안녕하세요 2022년도 얼마 남지 않았네요

    직장 다니시는 분이시면 소득 대비 공제율이나

    4대 보험 요율 올라가는 부분에 대해서

    관심이 많으실 거 같아서 준비했습니다.

    다가오는 2023년 바뀌는 점이 있는지

    건강보험요율을 정리해보려 합니다.

    이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국민연금 고용보험은 어떻게?

    노부부가 손잡고 걸어가는 사진
    출처 : pixabay

    국민연금과 고용보험은 작년과 동일.

    국민연금의 비율은 9%입니다.

    즉, 4.5%는 본인이 내고 4.5%는 직장에서

    내주는 구조로 보면 이해가 되실 겁니다.

    계산 방법은 월 급여에서 0.045를 곱하시고

    나오는 금액이 내가 내는 급액이 됩니다.

    일을 구하는 손과 직원을 구하는 사람 이미지
    출처 : PIXABAY

    고용보험의 경우 사업장은 근로자수에 따라

    조금 다른데요 일반적으로 고용주가 내는

    금액이 근로자보다 조금 더 많습니다.

    근로자수 150명 미만으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근로자의 경우 요율이 0.9%로 0.009를 곱하시고

    나오는 금액이 내가 내는 금액이 되고요

    사업자의 경우 0.9%에 0.25%를 더 부담합니다.

    해서 1.15%를 부담하는 걸로 0.115를 곱하시면

    사업주가 부담하는 고용 금액 액수입니다.

     

    그렇다면 건강보험과 장기요양 보험 요율은?

    청진기와 혈압 측정기 사진
    출처 : pixabay

    작년 대비 인상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건강보험은 1.43% 인상이 예정되어있고요

    장기요양 보험은 5.81% 인상이 예정되었습니다.

    근로자와 사업주가 각각 반씩 부담합니다.

     

    내가 정확하게 얼마 내는지 알아본다면

    건강보험은 월 급여 곱하기 0.03495

    장기요양보험은 건강 보험료 기준으로

    건강보험료 곱하기 0.1227 하시면 됩니다.

     

    내가 일일이 계산하기 귀찮다면?

    그런데 우리가 이렇게 일일이 계산하기

    너무나 귀찮고 쉽지 않으시죠? ㅎㅎ

    그래서 아래 링크를 남겨드렸습니다.

    세전 월 급여를 기입하시면 2023년

    얼마나 내는지 간편하게 알아볼 수 있습니다.

     

    4대보험료 모의계산 - 4대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

    건강보험조회목록으로 건강보험료 및 장기요양보험료,보험료율,근로자,사업주 에 대한 표 구분 기준액 보험료율 근로자 사업주 건강보험료 보수월액 6.99% 3.495% 3.495% 장기요양보험료 건강보험

    www.4insure.or.kr

     

     

    728x90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